logo

서브비쥬얼

방사선발생장치검사

HOME > 안전관리검사 > 방사선발생장치검사

방사선발생장치안전관리 검사

의료기관에서 설치 운영하는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를 안전하게 관리함으로써 환자및 방사선관계종사자가방사선으로 인하여 위해(危害)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진료의 적정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관의 개설자 또는 관리자는 아래의 사유가 있을 때에는 법 제 37조(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제 2항의 규정에 의하여 해당 진단용 방사서발생장치(이하 ‘발생장치’라 함)를 사용중에 당해 발생장치에 대하여 검사 주기에 따라 안전관리규칙 발표1의발생장치의 검사기준에 따라 동규칙 제 6조의 규정에의한 검사기관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다만, 제조 ·수입품목허가를 위해 시험검사기관의 검사(의료기기법 시행규칙 제5조 1항 2호, 제18호 제1항 및 제20조 제1항 제6호)를 검사성적서 발행일로부터 검사주기(3년)마다 검사기관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3년마다라 함은 최초 검사일 기준±31일 이내를 말합니다.

방사선방어시설검사

안전관리규칙 제4조 제3항에 의거 방사선방어시설은 별표 2의 방사선 방어시설 검사기준에 따라 당해 발생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안전관리규칙 제6조의 규정에 따라 검사기관의검사를 받아야합니다.

위의 내용으로 검사받은 방사선 방어시설 중 방사선 차폐시설을 변경설치하거나방사선 차폐시설을 설계할 때에 걸정한 주당 최대 동작부하를 초과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그 방사선 방어시설에 대하여 안전관리규칙 제 2조에 따라 검사기관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동형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Mobile Unit, C-arm, Protable Unit, 치과용 이동형 장치 및 이동형으로 제작된 엑스선 골밀도 측정기와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는 따로 방사선 방어시설이 필요하지 않지만,진료용 엑스선 방어앞치마(치과병원·치과의원의 경우에는 치과진료용 엑스선 방어앞치마를 말합니다.)를 갖추어야 하고 수술실·응급실 및 중환자실 이외의 장소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이동형 진료용 엑스선 방어칸막이를 갖추어야한다.
일 수술실 또는 단일 촬영실 내에서만 이동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어시설 기준에 따른 방사선 방어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이동형으로 제작된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의경우에는 수술실에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방어용구의 유무 또한 방사선 방어시설의 검사성적서에 기대됩니다.

※ 주당최대동작부하란?(단위 mA’ min/week)
특정 사용장치에 대한 주당최대동작부하는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장치가 여러 종류인 촬영실의경우 각 사용 장치의 주당최대동작부하의 총합이그 촬영실의 주당최대동작부하가 됩니다.
(주당최대동작부하) = [최대관전류(mA)X최대조사시간(sec)X주당최대촬영건수/60]
관련법규 : 안전관리규칙 제4조(검사 및 측정) 제4학, 제4항